하드디스크 파티션 분할 및 합치기
사진만 따로 보관을 하고 싶고 영상, 노래 등 개별적으로 보관을 하거나 분리시켜서 놓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외장하드를 포함해서 총 11테라 5개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사용을 해도 분리하는게 참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4테라 짜리 하드디스크를 하나로 그냥 쓰는 것도 물론 좋겠지만 여러개로 분할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굉장히 많아요.
여러개로 분리하면 각 카테고리에 맞게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죠. 조금 더 효율적으로 자료를 백업하실 수 있을거에요. 그래서 오늘은 하드디스크 파티션 분할 및 합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연관이 있는 포스팅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기
모니터 가장 왼쪽 아래를 보시면 윈도우 모양의 키가 있습니다. 마우스를 우클릭 하시면 여러가지 윈도우 설정을 하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줍니다.
분할 및 합칠 하드디스크 선택
저는 현재 2테라 짜리 드라이브로 파티션 분할을 하려고 자료를 다 비워놓았습니다. 파티션 분할 할 드라이브를 선택해주시고 그 드라이브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면 "볼륨 축소" 라는 항목이 있어요.
볼륨 축소 항목을 클릭해주세요.
용량 정하기
파티션을 분할하려면 디스크의 용량을 지정해줘야합니다. 저는 2테라 짜리 하드디스크를 반으로 분할 할까 했었는데 1.5 테라와 500메가로 분할을 했습니다.
용량을 지정하셨으면 "축소" 버튼을 눌러서 파티션을 분할해줍니다.
파티션 분할
위 이미지처럼 파티션이 두 개로 쪼개졌습니다. 한쪽은 원래 있던 용량에서 500기가가 줄어든 용량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새로 할당받은 파티션은 활성화를 시켜줘야합니다.
어두운 색으로 "할당되지 않음" 파티션을 우클릭해서 "새 단순 볼륨" 으로 들어가줍니다.
볼륨 만들기 마법사
어렵지 않습니다. 마법사가 하라는대로 하기만 하면되요. 다음을 눌러주세요.
볼륨 크기 지정
저는 500기가로 파티션을 나눴기 때문에 볼륨 크기도 500기가로 설정을 했습니다. 다음을 눌러주세요.
드라이브 문자 할당
로컬 디스크가 C드라이브로 시작하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이 됩니다. 원하는 문자가 있으면 지정해주시면 되고 순차적으로 드라이버 문자를 설정하시려면 그냥 다음을 눌러 진행해줍니다.
볼륨 레이블 지정
굳이 쓰지 않아도 상관은 없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드라이브에 이름을 설정해두는 편이거든요. 식별하기 좋은 이름으로 지어주시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파티션 나누기 끝
이처럼 아주 간단하게 파티션이 나뉘어졌습니다. 원래 2테라 용량에서 1.5테라와 500기가로 나뉘어졌어요.
드라이브 설정에서도 표기가 되고 윈도우 탐색기에도 정상으로 표기가 됩니다. 이렇게 파티션을 분할해봤으니 파티션 합치는 방법도 알아봐야되겠죠?
파티션 합치기
말은 파티션 합치기이지만 나눠 놓았던 파티션 중 하나를 삭제를 하는거에요. 기존에 나눠 놓았던 파티션을 삭제를 해주면 원래 있던 용량대로 파티션이 합쳐지게 됩니다.
삭제할 드라이브를 우클릭해서 "볼륨 삭제" 항목을 클릭해줍니다.
단순 볼륨 삭제
안내 문구처럼 파티션을 삭제하면 내용도 같이 삭제가됩니다. 자료가 있으시다면 미리 백업해두시고 진행하시는 걸 추천해요.
백업도 되었고 삭제해도 문제 없다면 "예" 를 클릭해주세요.
할당 되지 않은 파티션
파란색 부분은 현재 활성화 된 파티션이고 검은 테두리가 있는 파티션은 방금 삭제를 했기 때문에 비활성화 상태의 파티션입니다.
활성화 된 파티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셔서 "볼륨 확장"을 클릭해주세요.
볼륨 확장 마법사
아까 분할 할 때처럼 아주 간단합니다. 마법사만 잘 따라하시면 되요!
확장할 디스크
파티션을 합칠 것 이기 때문에 비활성화된 파티션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파티션 합치기 끝
아주 간단하죠?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이렇게 자유롭게 파티션을 확장도 하고 분할도 하고 입맛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티션 분할! 간단하게 하시고 편하게 사용하세요!
관련 포스팅
도움이 조금은 되셨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그리드형(광고전용)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관리자 계정으로 설정하기 (0) | 2021.07.17 |
---|---|
메인보드 10초만에 확인하기 (0) | 2021.07.15 |
윈도우 업데이트 되돌리기, 제거하기 (0) | 2021.07.15 |
윈도우10 간단하게 초기화 하는 방법 (0) | 2021.07.14 |
댓글0